
1 / 표면층 Surface Layer
* 동결 융해 시 표면층 박리현상 개선 및 보완
* 2차 가공으로 표면의 미려함 보완
* 인조 화강석 처리로 고급스럽고 화려한 색상 구현
2 / 투수층 Permeable concrete Layer
일정한 입자로 강도 및
투수를 증진
빗물을 가두어 저장시킴으로
보습기능 극대화
열섬현상 완화
3 / 기초층 concrete Layer
초 고강도로 전체 블록의
강도를 향상
편 하중에 강하고, 돌기마모
최소화
돌기의 초 고강도로 블록의
수명 연장
4 / 홀 Hole
지면과의 안착력 증대
빗물의 원활한 투수기능 증진
5 / 중간층
3차 부분에 홀 주위로 저류
1 / 저지대 침수피해 예방
* 우수를 블록 안에 가두어 표면 유출량 감소
* 투수로 인한 자연 물순환 촉진으로 우수관 집중 유입 지연
* 우수관의 역류 예방이 기여
2 / 지하수위 변화에 대응
* 지표면 침투 우수량 증가
* 차도 투수블록의 침투 수량 증가
* 지하수위 낮아지는 속도을 저감시킴
3 / 도시의 열섬현상 완화
* 블록 포장이 아스팔트 포장에 비하여 표면온도 10도 이상 저감
4 / 생태면적율
생태면적율 가중치 0.4 ~ 0.3 부여
투수블록의 효과
학교앞 차도블록
불투수 보도블록, 아스팔트 포장으로 인한 문제점
1 / 저지대 침수피해
* *자연 물순환 왜곡으로 집중 호우 시 하천변, 저지대 침수 피해 발생
2 / 지하수 고갈로 인한 지하수위 변화
*지하철 건설 등으로 지하수 유출 및 단절이 발생
* 불투수 보도블록의 증가로 지표면 침투 우수량 감소
* 보도블록 및 아스팔트 도로 증가로 인한 지하침투 수량의 감소
3 / 불투수 포장 비율 90% 이상
* 도시화로 인한 불투수 면적 급증
* 불투수 면적의 증가로 빗물의 표면 유출 증가
4 / 도시의 열섬 현상
* 아스팔트 포장으로 인한 도로표면 온도 상승
[어린이보호구역 교통사고 저감]
•보행사망자수가 전체 교통사고의 38.2%
•교통약자의 보행 중 사망은 전체 50% 이상
•고속주행용인 아스팔트 포장으로 인해 차량속도 증가
•주행차량 80%이상 아스팔트에 비해 블록포장 차량 평균속도 저감률 약13%
•제한속도를 하향한 18개구간의 경우 전년 같은 기간보다 교통사고 18.3% 감소
•보행자 교통사고 17.8%감소


포러스 콘크리트
* 3D 레이어와 달리 균일한 투수성능을 구현하므로 협착물에 의한 공극막힘 현상 발생
* 고강도 콘크리트 층이 없음
* 공극률 증가로 강도 감소


3D 홀 블록
* 연속 공극이 큰 홀 블록은 공극막힘 현상이 미미함
* 고강도 발현 시에도 투수력에 영향이 없음
투수블록 포장
강도와 투수계수 비교

* 포러스 타입 콘크리트 투수블록
* 공극률에 의한 투수계수와 강도가 반비례 함

* 공극을 활용한 3 Layer 구조
* 기초층의 초 고강도 레이어와 홀을 결합하여 고강도 구현(특허공법)

아스팔트포장 대비 블록포장에서 약 1~2dB(A) 소음이 낮게 측정됨
1960년대에 비하여 표면 우수 유출량 5배 증가

* 우수 침투 2배 감소, 표면 유출량 5배 증가

평균 20분- 투수블록 포장
평균 5.4분 - 일반 아스팔트

평균 38L/㎡ 저장가능
일반 아스팔트의 6.4배 효과

차도블록의 경제성 비교
